이번사진은 비죠플렉스를 이용한 촬영이에요
같이 즐겨주세요^^
비죠플렉스는 시행착오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시스템 구성하는데 오래걸리긴 합니다만...
일단...엠구를 기준으로
비죠플렉스 2를 구하시면 어뎁터를 깍아야 합니다.
비죠플렉스 3을 구하셔야그림처럼 m9에 다른 어뎁터없이 제대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비죠플랙스3에는 사각형 눈구멍이 달려 있습니다(요게 좋은거에요 딴 앵글파인더랑 호환시킬 수 있는)
비죠2에는 파인다가 동글배기가 달려있어 + 또다른 밝은파인더를 붙이기 불가능하지만
캐논의 명기 앵글파인더를 구하기 쉬운 기성품사각 어뎁터만 있으면 비죠3에 장착할 수 있습니다.
케논은 아시다시피 로우앵글 쓰시는분들은 이 앵글파인더를 죽고못살정도로 좋아합니다.
위와 옆으로 회전이 가능해서 숲속에서는 그야말로 보약이지요.
제가 본 파인더중 케논이 제일 낫습니다.
두번째...비죠2를 구하셨다손 치드래도 위에서 내려다보는 그림과 같은 파인더를 구하시면
팬탁스67용 밝은 파인더가 거기에 딱 맞습니다....이건 업자들이 짜고 친 고스톱도 아닌데 호환이 됩니다.
접사를 하다보면 핀맞추기가 여간 어렵지않지만 이 파인더들을 쓰면 걱정 끝입니다.
비죠플렉스는
🔹 라이카 Visoflex 시스템이란?
✅ 출시 연도: 1951년 (Visoflex I) → 1963년 (Visoflex II) → 1967년 (Visoflex III)
✅ 사용 목적: 라이카 M 시리즈 카메라를 SLR처럼 사용 가능하도록 만든 파인더 시스템
✅ 핵심 기능:
- 미러 & 프리즘 사용 → TTL(Through-The-Lens) 방식의 뷰파인더 지원
- M 마운트 렌즈에 긴 초점 거리(망원) 렌즈 장착 가능
- 정확한 초점 조절을 위해 사용 → 접사 촬영, 망원 촬영에 적합
📌 쉽게 말하면?
👉 라이카 M 시리즈를 SLR처럼 변환해주는 시스템!
👉 망원 촬영이나 접사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독특한 액세서리
🔹 Visoflex III (M9에 장착한 모델) 특징
Visoflex III는 1967년에 출시된 가장 발전된 Visoflex 시스템으로, 이전 모델보다 더 편리한 조작이 가능합니다.
✅ M 마운트 카메라에 장착하여 SLR 방식으로 촬영 가능
✅ 미러 업 기능 → 빠른 초점 조정 가능
✅ ELPRO 접사 어댑터 추가 시, 강력한 매크로 기능 지원
✅ 135mm 이상의 망원 렌즈 사용 가능
📌 쉽게 말하면?
👉 M 시리즈의 한계를 뛰어넘어, 접사 & 망원 촬영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
👉 초점 조절이 까다로운 라이카 M에서 정밀한 초점 조절을 도와주는 시스템
🔹 Leica 60mm f/4 Elmar (Visoflex용 렌즈) 분석
📷 이번 촬영에서 사용한 "Leica 60mm f/4 Elmar Visoflex 렌즈"는, 클래식한 매크로 & 망원 렌즈로 유명합니다.
✅ 출시 연도: 1960년대
✅ 광학 설계: 4군 4매
✅ 조리개 범위: f/4 – f/32
✅ 최단 촬영 거리: 0.5m (ELPRO 어댑터 사용 시 더 가까운 접사 가능)
✅ 특징:
- Visoflex 전용 렌즈로 설계됨 → 일반 M 마운트에서는 사용 불가
- 매크로 & 정밀 촬영에 최적화된 구조
- 부드러운 배경 흐림과 높은 해상력 제공
📌 쉽게 말하면?
👉 M 마운트에서 접사 & 정밀한 망원 촬영이 가능한 독특한 렌즈
👉 부드러운 보케와 클래식한 색감을 제공
📷 촬영 감상 – 겹매화 & 라이카의 감성적 표현
📷 겹매화의 아름다움을 Visoflex 시스템과 60mm Elmar 렌즈로 담아낸 사진은,
클래식한 라이카 렌즈 특유의 부드러운 색감과 섬세한 디테일을 보여줍니다.
✅ 📌 컬러 사진 분석
- 푸른 하늘과 분홍/흰색 꽃의 대비가 인상적
- 60mm의 자연스러운 원근감 덕분에 공간감이 살아남
- Visoflex 시스템의 정밀 초점 덕분에 꽃의 질감이 세밀하게 표현됨
✅ 📌 흑백 사진 분석
- 빛과 그림자의 대비가 강조되며, 꽃의 질감이 더욱 부각됨
- 고전적인 필름 카메라 느낌이 강하게 표현됨
- 흑백의 단순한 색감 덕분에 겹매화의 형태와 질감이 더욱 강조됨
📌 쉽게 말하면?
👉 Visoflex의 정밀한 초점 조절 기능 덕분에, 꽃의 디테일이 살아남
👉 60mm Elmar 렌즈 특유의 부드러운 보케와 색감이 사진을 더욱 감성적으로 만들어 줌
📌 결론: Visoflex + 60mm Elmar, 클래식한 접사 & 정밀 촬영의 조합
Visoflex III 시스템과 60mm Elmar 렌즈의 조합은, M 시리즈의 한계를 뛰어넘는 강력한 확장 기능을 제공합니다.
특히, 초점 조절이 정밀해야 하는 접사 & 망원 촬영에서 최고의 조합이며,
이번 촬영에서도 꽃의 디테일과 감성을 잘 표현해낸 사진이 나왔습니다.
Visoflex 시스템은 라이카 M 시리즈 카메라를 SLR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독특한 액세서리입니다. 이를 통해 접사나 망원 촬영 시 정확한 초점 조절이 가능하며, 다양한 촬영 환경에서 활용됩니다.
Visoflex III는 1967년에 출시된 모델로, 이전 버전보다 개선된 기능과 편의성을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라이카 M 시리즈 카메라에서 SLR 스타일의 촬영이 가능하며, 접사 및 망원 촬영에 특히 유용합니다.

체게바라가 썻다는건 역사적얘기거리죠^^

'라이카렌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ICA "Noctilux 50mm f/0.95, 어둠을 밝히는 빛의 예술" (0) | 2025.02.24 |
---|---|
LEICA "Summilux 21mm f/1.4, 빛과 공간을 담는 광각의 마법" (0) | 2025.02.24 |
전설의 Noctilux 50mm f/1.2, 창덕궁 옥류천의 시간을 기록하다 (0) | 2025.02.24 |
Summaron 28mm f/5.6, 창덕궁의 시간과 빛을 담다 (0) | 2025.02.24 |
Summilux 35mm f/1.4 1세대, 창덕궁을 담다 – 클래식한 빛의 기록 (0) | 2025.02.24 |